본문 바로가기

ISO9001 품질경영시스템/ISO9001 요구사항56

ISO9001 [8.1] 운영(Operation) 기획 및 관리 8항 개요에 대해서는 이전 글에서 살펴보았고, 바로 요구사항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죠. 2024.07.09 - [ISO9001 품질경영시스템/ISO9001 요구사항] - ISO9001 [8.0] 운영(Operation)​8.1 운용 기획 및 관리(Operation planning and control)조직은 다음 사항을 통하여, 제품 및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, 그리고 6절에서 정한 조치(action)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(4.4 참조)를 계획, 실행 및 관리하여야 한다."제품실현"이라는 용어가 결국 제품 및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것이라고 풀어서 표현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, 우리가 만들어 내고자 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.. 2024. 7. 11.
ISO9001 [8.0] 운영(Operation) 드디어 8항 운영(Operation)입니다.​7항 자원을 통해서 우리는, 우리의 조직을 운영할 인원, 기반시설, 지식 부분에 대한 준비가 끝났습니다.그럼 이제, 우리의 제품과 서비스를 어떻게 잘 만들어낼지를 결정하는 단계입니다.​그래서 8항은 실무를 하는 사라들 즉, 제품과 서비스가 만들어지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인원들(영업, 설계, 생산 등)과 연관이 있는 사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 (어떤 사람들은 이를 Chain value라고도 하고, Primary activities(주활동)이라고도 합니다)​"8. 운용"은 사실 ISO9001:2008 버전에서는 "제품실현"으로 표현되었던 부분입니다. 2015 버전의 HLS(High Level Structure)에 따라 구조가 개편되면서 "운용(Operation.. 2024. 7. 11.
ISO9001 [7.5] 문서화된 정보 Part. 3(문서화된 정보의 관리) 2024.07.09 - [ISO9001 품질경영시스템/ISO9001 요구사항] - ISO9001 [7.5] 문서화된 정보 Part. 2(작성 및 갱신)계속해서, 작성된 문서는 어떻게 관리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(문서의 작성에 대해서는 상단 링크 참조)​7.5.3.1 품질경영시스템 및 이 표준에서 요구되는 문서화된 정보는, 다음 사항을 보장하기 위하여 관리되어야 한다.a) 필요한 장소 및 필요한 시기에 사용 가능하고 사용하기에 적절함작성된 문서는 항상 보고 싶을 때 언제든지 찾아서 볼 수 있어야 합니다. 예전에는 ISO심사원들이 문서를 몇 분 안에 찾아내는 것도 심사하곤 했다는 설이 있습니다. (머 사실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. ^^:)요구사항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문서가 작성되는 곳과 사용되는 .. 2024. 7. 10.
ISO9001 [7.5] 문서화된 정보 Part. 2(작성 및 갱신) 7.5 문서화된 정보에 대해서 계속 알아보죠.2024.07.07 - [ISO9001 품질경영시스템/ISO9001 요구사항] - ISO9001 [7.5] 문서화된 정보 Part. 1(일반사항)7.5.1 일반사항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가 운영하고 있는 품질경영시스템에 어떠한 문서화된 정보가 필요한지를 식별하고 결정하게 됩니다. (유지, 보유, 결정, 전달이 필요한 요구사항들)​이제 이 결정된 문서화된 정보를 만들어 낼 때, 주먹구구식으로 각자 아무렇게나 만들어내면 될까요?조직에서 결정된 문서화 체계에 의해서 어떤 매체를 통해, 어떤 양식에, 누가, 언제 만들어 냈는지 등등을 정해놓고 조직의 인원들로 하여금 그대로 만들어 낼 수 있게 해야겠죠.(누구는 엑셀을, 누구는 한글을, 누구는 표로 작성하고, 누구는 그냥.. 2024. 7. 10.
ISO9001 [7.5] 문서화된 정보 Part. 1(일반사항) 드디어 7항의 마지막입니다. ​그간의 과정을 잠시 한번 되풀어 보면, 다음과 같습니다.- 7.1항에서는 인원, 기반구조, 프로세스 운용환경(사회적/심리적/물리적), 모니터링/측정 자원, 조직의 지식- 7.2항에서는 우리 조직의 인원이 가져야 할 역량/적격성- 7.3항에서는 인원의 적극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인식- 7.4항에서는 품질경영시스템 내에서 서로서로가 정보를 주고받는 것을 정한 의사소통​그리고, 7.5항에서는 우리가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알게 될 모든 요구사항을 담는 그릇이라고 할 수 있는 "문서화된 정보(Documented information)에 대해서 계속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.​일전에 "문서화된 정보"의 의미는 하기 게시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2024.07.07 - [ISO9001.. 2024. 7. 9.
ISO9001 [7.4] 의사소통(Communication) "7.3 인식"에 이어 7.4 의사소통(Communication)에 대해서 알아보죠.​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할 때 간과하기 쉬운 요구사항들이 있습니다. 저의 경우에는 6.3 변경의 기획이 그랬었고 이번에 알아볼 7.4 의사소통 이 그랬습니다.​자칫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 수 있으나, 사실 우리가 일하고 있는 곳 또는 어느 곳이라도 의사소통이라는 것이 이미 결정되어 운영되고 있으니 어쩔 때 보면 공기(?)와도 같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.​일단 의사소통의 용어의 뜻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.의사소통이란?계획되고 효과적인 내부(예: 조직전체)와 외부(예: 관련 이해관계자) 의사소통은 인원의 적극참여를 강화하고 다음사항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.- 조직상황- 고객과 기타 관련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- QMS출처: .. 2024. 7. 9.
ISO9001 [7.3] 인식(Awareness) 7.3항 인식이란 쉽게 말해, 내가 속한 조직에서 또는 회사에서는 나는 무엇을 위하여 존재하는가?, 나로 인해서 회사는 어떤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?, 내가 혹시 맡은 업무를 잘 못하게 되면 회사에 어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? 와 같이 조직 속에서의 자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인지하는 것입니다.​그래서, 인원이 자신의 책임을 그리고 자신의 행동이 조직의 목표 달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이해할 때 이러한 인식이 조성된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.​자 그럼 이러한 "인식(Awareness)"을 이끌어 내는 목적은 무엇일까요?​축구에서의 포지션으로 예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.​축구에서 미드필더라고 하면, 최전방 공격수에게 볼 배급, 공격 가담을 지원함과 동시에 최전방~중원에서 공격 저지와 같은 수비수 역할을 하.. 2024. 7. 9.
ISO9001 [7.2] 역량/적격성(Competence) Part.2 이전에 7.2 역량/적격성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.2024.07.06 - [ISO9001 요구사항] - ISO9001 [7.2] 역량/적격성(Competence) Part.1 실제에 각 회사에서 하고 있는 것에 비해서 교육/훈련 부분에 대한 요구사항이 너무 간략한 것 같아서, 대략적인 구조에서 대해서 추가로 설명하고자 글을 적어봅니다 ㅎㅎ.​하기 내용은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전반적인 흐름을 나열한 것이고, 좋은 회사에서는 이보다 더 많은 혹은 고도화된 교육과 훈련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으니 참고만 하시면 되겠습니다. ^^​자 그럼, 역량/적격성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 보시죠.​첫 번째, 프로세스마다 직무를 정합니다.프로세스마다 소요되는 직무를 구분합니다. 예를 들어, 설계도면을 .. 2024. 7. 8.
ISO9001 [7.2] 역량/적격성(Competence) Part.1 앞서 7.1.2 인원(People)에서 잠깐 다뤘던 내용입니다. 7.1항에서는 품질경영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인원을 제공하라고 했다면, 7.2 역량/적격성(competence)에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어떤 인원을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.​잠시 용어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역량/적격성(competence)의도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지식 및 스킬을 적용하는 능력을 의미하며, 입증된 역량은 때로는 자격인정이라고 언급되기도 한다.출처:ISO9000:2015역량과 적격성을 나눠서 보면(한국어사전에 의하면),역량은 근로자가 해당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, 적격성은 규정이나 조건에 맞는 성질, 상태 또는 그와 관련한 적합한 자격이다.​요구사항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.​조직은 다음.. 2024. 7. 8.
ISO9001 [7.1] 자원 Part. 4(조직의 지식) 7.1 자원의 마지막 요구사항은 7.1.6 조직의 지식(Organizational knowledge)입니다.​앞서 우리는 품질경영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하는 인원, 기반구조(인프라), 운용환경 그리고 모니터링/측정자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​이제는 우리가 가져야 할 지식에 대해서 알아볼 시간입니다.지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, 조직의 지식(Organizational knowledge)이라 함은 우리 조직만의 특성을 띄고 있는 정보라고 볼 수 있습니다. 그래서 7.1.6 요구사항은 이러한 조직이 유지해야 하는 지식을 정하고 관리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한 내용입니다.​이 요구사항으로 인해 우리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. (부속서 "A.7항 조직의 지식" 참조)​1... 2024. 7. 8.